안녕하세요 티픽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세종대 대입 전략에 대해 포스팅해드렸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노원구에 위치한 서울여대에 대한 정보 공유하도록하겠습니다. 그럼 따라오시죠.
서울여대는 여성의 교육과 리더십을 강조하는 대학으로, 다양한 학과와 전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여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어떤 전형을 선택하고,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서울여대의 수시와 정시 전형 방법, 그리고 전년도와의 변경 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서울여대 학과 정보
- 인문학부: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 사회과학부: 행정학과, 경제학과, 정치외교학과, 사회복지학과, 교육심리학과
- 언론영상학부: 언론영상학전공, 광고홍보전공
- 문헌정보학부: 문헌정보학전공, 출판문화전공
- 자연과학부: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 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정보보호학전공, SW융합전공
- 예술디자인대학: 음악과, 미술교육과, 시각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전공
- 간호대학: 간호학과
서울여대 입학 경쟁률
서울여대는 2024학년도에 총 1,750명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이 중 수시모집은 1,048명(59.9%), 정시모집은 702명(40.1%)을 선발합니다. 서울여대의 입학 경쟁률은 전년도와 비교하여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다음은 서울여대의 입학 경쟁률에 대한 정보입니다.
수시모집 수시모집의 평균 경쟁률은 6.8:1로, 전년도보다 0.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각 전형별로 평균 경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교과우수자전형: 7.5:1
- 바롬인재서류전형: 6.9:1
- 바롬인재면접전형: 6.7:1
- SW융합인재전형: 5.3:1
- 논술우수자전형: 7.0:1
수시모집에서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언론영상학부(25.8:1), 패션산업학과(23.3:1), 시각디자인전공(21.6:1), 영어영문학과(18.8:1), 중어중문학과(18.3:1) 순입니다. 반면, 경쟁률이 가장 낮은 학과는 정보보호학전공(4.4:1), 데이터사이언스학전공(4.4:1), 소프트웨어융합전공(5.3:1), 수학과(5.4:1), 식품응용시스템학부(7.1:1) 순입니다.
정시모집 정시모집의 평균 경쟁률은 8.3:1로, 전년도보다 0.9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각 전형별로 평균 경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전형: 8.3:1
- 재외국민과외국인전형: 6.2:1
- 특별전형: 7.9:1
정시모집에서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사회복지학과(24.0:1), 화학·생명환경과학부(23.3:1), 패션산업학과(23.3:1), 언론영상학부(23.0:1), 중어중문학과(20.8:1) 순입니다. 반면, 경쟁률이 가장 낮은 학과는 수학과(5.5:1), 독어독문학과(7.0:1), 식품응용시스템학부(7.5:1), 자율전공학부 (자연)(8.3:1), 산업디자인학과(8.7:1) 순입니다.
서울여대의 입학 경쟁률 정보는 123 등의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여대 수시 / 정시 전형
서울여대의 수시와 정시 전형 방법 서울여대는 2024학년도에 총 1,750명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이 중 수시모집은 1,048명(59.9%), 정시모집은 702명(40.1%)을 선발합니다. 수시모집은 학생부위주전형으로 825명(47.1%)을 선발하고, 정시모집은 수능성적과 학생부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선발합니다. 서울여대의 수시와 정시 전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시모집 수시모집은 총 5개의 전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전형별로 모집인원, 선발방식, 수능최저학력기준 등이 다르므로, 자신에게 맞는 전형을 잘 선택해야 합니다. 수시모집의 전형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교과우수자전형: 178명 모집, 학생부교과성적 100% 반영,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 중 2개 영역 등급 합이 7 이내), 진로선택과목 가산점 부여(최대 3과목)
- 바롬인재서류전형: 248명 모집, 학생부종합성적 100% 반영, 수능최저학력기준 미적용
- 바롬인재면접전형: 162명 모집, 단계별 평가방식 적용(1단계: 학생부종합성적 100%, 2단계: 학생부종합성적 50%+면접성적 50%), 수능최저학력기준 미적용
- SW융합인재전형: 90명 모집, 단계별 평가방식 적용(1단계: 학생부종합성적 100%, 2단계: 학생부종합성적 50%+면접성적 50%), 수능최저학력기준 미적용
- 논술우수자전형: 370명 모집, 논술성적 80%+학생부교과성적 20% 반영,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국어/수학/영어영역 중 1개 영역 이상 3등급 이내)
정시모집 정시모집은 총 3개의 전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전형별로 모집인원, 선발방식, 수능최저학력기준 등이 다르므로, 자신에게 맞는 전형을 잘 선택해야 합니다. 정시모집의 전형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전형: 702명 모집, 수능성적과 학생부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선발,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모집단위별로 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 중 2~3개 영역을 반영), 영어영역과 한국사영역은 등급별 환산점수 및 가산점 부여
- 재외국민과외국인전형: 31명 모집, 수능성적과 학생부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선발,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모집단위별로 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 중 2~3개 영역을 반영), 영어영역과 한국사영역은 등급별 환산점수 및 가산점 부여
- 특별전형: 0명 모집, 특별전형은 2024학년도에 신설되는 전형으로, 장애인, 군인 및 군무원, 고교 졸업 후 2년 이상 경력자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선발방식과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일반전형과 동일합니다.
서울여대의 전년도와의 변경 사항 서울여대는 2024학년도에 몇 가지 변경 사항이 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시모집에서 교과우수자전형의 모집인원이 181명에서 178명으로 줄었고, 바롬인재서류전형의 모집인원이 256명에서 248명으로 줄었습니다. 바롬인재면접전형의 모집인원도 169명에서 162명으로 줄었습니다.
- 수시모집에서 교과우수자전형에서는 진로선택과목을 가산점을 부여하는 형태로 평가에 반영합니다. 진로선택과목은 성취도 등급점수 A=1.0, B=0.9, C=0.5로 환산하여 최대 3과목까지 가산합니다.
- 정시모집에서 일반전형의 모집인원이 716명에서 702명으로 줄었습니다. 재외국민과외국인전형의 모집인원은 31명으로 동일합니다.
- 정시모집에서 특별전형이 신설되었습니다. 특별전형은 장애인, 군인 및 군무원, 고교 졸업 후 2년 이상 경력자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서울여대에 입학하기 위한 팁 서울여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강점을 잘 파악하고, 적절한 전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여대는 학생부 위주 전형이 많으므로, 내신관리와 비교과활동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또한, 면접이 있는 전형은 면접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면접에서는 자신의 학업과 비교과활동에 대한 열정과 성취, 그리고 서울여대에 입학하고 싶은 이유와 목표를 잘 표현해야 합니다. 면접 전에는 자신의 자기소개서와 학생부를 잘 살펴보고, 서울여대의 교육이념과 비전, 그리고 원하는 학과의 특징과 커리큘럼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면접 당일에는 정중하고 친절하게 인사하고, 질문에는 명확하고 직설적으로 답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여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수능성적도 중요합니다. 수시모집에서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므로, 수능성적이 기준에 미달되면 탈락할 수 있습니다. 정시모집에서는 수능성적이 주요한 평가 요소이므로, 수능 준비에도 충분한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수능 공부를 할 때는 서울여대의 모집단위별로 반영하는 영역을 잘 파악하고, 그에 맞게 공부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영어영역과 한국사영역은 등급별 환산점수와 가산점을 부여하므로, 이 두 영역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서울여대는 여성의 교육과 리더십을 강조하는 대학으로, 여러분들의 꿈과 열정을 지원해 줄 것입니다. 서울여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강점을 잘 파악하고, 적절한 전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내신관리와 비교과활동, 면접 준비, 수능 공부 등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서울여대의 수시와 정시 전형 방법, 그리고 전년도와의 변경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이 서울여대에 입학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4학년도 서울여대의 대입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수험생 여러분들의 입시 준비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